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몸과 마음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심리적 원인에 의한 다양한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며
-의학적 검사를 통해서는 관련된 신체적 이상소견이 없음으로 나타난다.
-신체적 증상의 발생과 유지에 심리적 원인이 기여한다고 보인다.
DSM-5에 의한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의 분류 |
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 |
질병불안장애(Illness Anxiety Disorder) |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허위성 장애(Factitious Disorder) |
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
※ 주요증상
의학적 원인으로 규명할 수 없는 다양한 신체적 불편감과 증상 호소
치료 추구 행동- 다양한 통증, 소화기 계통의 증상 호소, 성적 증상,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
※ DSM-5 진단준거
증상의 심각성과 관련된 과도한 생각
건강 및 증상에 대한 높은 수준의 불안과 집착
※ 신중한 진단적 고려
충분한 검사 이후,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을 때 비로소 진단
신체화 장애로 진단된 이후, 다른 정밀검사를 통해 신체적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음
※ 임상적 특징
유병률
일반 성인인구 중 5~7%
낮은 SES, 도시보다는 시골 거주자에게 높은 유병률------- 아시아, 아프리카>미국, 유럽
발병과 예후
초기 아동기/청소년기 시작해서 만성화 경향
잘 치료되지 않고, 스트레스 증가시 증세가 악화되는 성향.
질병불안장애(Illness Anxiety Disorder)
※ 주요증상
신체 증상이나 감각을 비현실적으로 부정확하게 인식하여 자신이 심한 병에 걸렸다는 집착과 공포를 경험
DSM-5 진단 준거
중병에 걸렸다는 생각에 과도한 집착.
신체적 증상이 존재하지 않거나, 그 강도가 경미함.
건강에 대한 높은 불안 수준 및 개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사소한 정보에도 쉽게 놀람.
건강과 관련된 과도한 행동이나 부적응적 회피
질병에 대한 집착은 6개월 이상 지속되며, 두려워하는 질병이 이 기간 동안 바뀌어야 함.
세분: 의학적 진료를 추구하는 유형 / 회피하는 유형
※ 임상적 특징
유병률
내과 환자의 4~9%
초기 정소년기 시작되어 만성화 되는 경향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주요증상
심리적 갈등이 신체적 증상으로 전환되어 나타남
소수의 신경학적 증상
운동기능 이상, 신체 일부 마비/감각 이상 Freud의 hysterical neurosis
DSM-5 진단 기준
의도적인 운동기능이나 감각 기능의 변화를 나타내는 한 가지 이상의 증상
증상과 확인된 신경학적/의학적 상태 간의 불일치.
다른 신체적 질병이나 정신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 임상적 특징
대표적 증상들
운동기능 이상
신체 일부의 마비 및 기능저하, 협응기능 손상
감각기능 이상
특정 신체부위의 무감각
갑작스러운 신체적 경련이나 발작
손발 뒤틀림/경련
유병률
1% 미만
대도시 거주자<시골 거주자, 낮은 SES
성인<아동/청소년
높은 재발률(20~25%)
성차
여성(약 2~10배)>남성
사회문화적 영향: 여성의 의존적 역할이 허용되는 문화에서 높은 여성유병률
허위성 장애(Factitious Disorder)
※ 주요증상
환자 역할을 목적으로 신체적/심리적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거나 위장함.
증상으로 인한 현실적 이득이 없음.
이차적 이득이 없다는 점에서 꾀병(malingering)과 구별됨.
※ 임상적 특징
성차
여성<남성
발병시기 및 경과
대개 성인기 초기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경향
'이상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군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0) | 2015.10.04 |
---|---|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에서 QNA (0) | 2015.05.10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0) | 2014.11.13 |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2 (0) | 2014.04.17 |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1 (0) | 201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