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심리

정신역동적 사례개념화

by sjmilk 2017. 1. 27.





사례개념화란 







내담자의 심리역동 행동패턴 등에 대한 이해, 치료계획이다.
내담자의 심리내적 역동의 인지적, 행동적, 대인관계적 측면을 종합하여 내담자의 현재기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 

내담자에 대한 정보를 모아서 조직화하고, 내담자의 상황과 부적응적 패턴을 이해, 설명하여 상담과정을 안내하고 초점맞추고 도전과 장애를 예상하고 성공적인 종결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및 임상적 전략. 
- 위 과정은 내담자와 합의 되어야한다. 
 



시작

상담자의 이론적 배경이 제일 먼저 필요하다 
그리고 4가지로 구성되어있다. 

진단적 공식화- 호소문제는? 촉발요인? 유지요인? 기본성격패턴? 
(대체 무슨일이 일어난거야? 왜 이시점에 왔지?- 횡단적인 현재상황에 대한 이해)

임상적 공식화- (왜 이런 패턴을 갖게 되었지?- 종적인 인생에 관한 이해)
문화적 공식화- 내담자가 처해있는 사회적문화적 요인(민감한 상담자일수록 촉각을 세운다)
상담개입 공식화- 목표설정, 구체적 개입방법

촉발요인 같은 경우는 매우 상세하게 물어봐야함. 
자주쓰는 말을 언급하는 질문, 자꾸 웃는다던가. 

사회적 이슈에 따라 내담자들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음.




임상적공식화
유발요인의 탐색과 부적응적 패턴 설명 (유발요인이란 적응적 또는 부적응적 기능을 촉진하는 요인들)
개인사, 
주요애착대상과의 관계,
가족사 및 사회적 취약점,
유지요인 (패턴을 활성화하며 유지시킴)
촉발요인
호소문제 
유발요인
유지요인 이 네가지를 생각한다




문화적공식화

내담자의 문화적 요인 검토, 
문화적 신념, 가치관, 태도, 관습, 해외생활경험 
내담자의 성격과 기능수준의 영향을 미친 문화적 요인들

문화적정체성(내담자가 특성 민조깁단의 구성원으로 지각하는 존재감, 소속감)
문화적응(어떻게 문화에 적응했는가? - 언어, 가치관, 의식, 민족적 정체성, 차별, 문화적 가치관, 문화적응의 세대간 차이 등 
문화적설명(자신이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이유에 대한 내담자의 설명- 저는 이래서 그런거 같아요.)
문화 대 성격(문화적 역동과 성격역동 간의 상호작용) 




상담개입 개념화의 요소 

상담목표는 측정가능하고 현실적인 것으로
단기목표와 장기목표를 다르게 
단기목표는 증상감소 관계의 향상, 기준선까지의 회복, 업무복귀 
장기목표는 성격변화

상담의 초점 현재의 최선의 상담방향은 무엇인가?
상담은 내담자의 감정에 초점을 맞춰야한다. 

교정적 정서체험 - 보다 호의적인 환경에서 과거에 통제할 수 없었던 정서적 상황에 내담자를 다시 노출 시키는것 
상담자의 반응(지지, 공감)이 내담자의 예상반응(비판)을 뒤엎는 것 




정신역동적 사례개념화

변화불가능한 요인에 대한 평가 -기질 

치료적 개입 : 자신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수 있도록.
그 비루한 현실을 인정하고 상담자가 같이 아파해주는것 필요. 

발달사 탐색 - 주양육자와의 관계/ 분리경험(이사, 질병, 사고)학교생활 직장생활 이성관계 성경험 
생애초기단계의 손상 대 성인기의 극심한 손상에 대한 평가 

* 유아기에 초기 발달주제가 충분히 숙달되었어도, 성인기에 닥친 스트레스가 이를 다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정신역동적 사례이해 

전이 및 역전이

유사역전이(concordant) - 상담자가 내담자의 어린시절 느낌을 경험
상보역전이(complementary) - 내담자의 어린 시절 양육자의 느낌을 경험
역전이를 심하게 경험할 수록 내담자가 심각하다. 

* 우울증 조증 불안 공황장애 공포증 등의 정서적 문제가 주호소 일때는 유전적 소인의 가능성을 생각해보고 약물치료와 심리치료의 병행이 필요하다. 




감정적 진단적 의미에 대한 평가

감정평가를 위한 핵심 질문
감정과 행동을 구분할 수 있는가?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감정을 어떤 방식으로 방어에 활용하는가?
수치심과 죄책감 중 어느쪽에 관련되었는가?

죄책감은 강박과 관련, 수치심은 나르시즘과 관련


치료적 관계를 활용한다
교정적정서체험을 활용한다 








(2016. 8 .20 노이경 교수님, pic from google))